[Android] 01 - 안드로이드 APP 프로젝트 구조

2022. 4. 24. 17:13Computer Science/Android

안드로이드 APP 프로젝트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먼저 알아보려고 합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파일 구조를 가집니다.

 

 

그럼 주요 파일 구조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AndroidManifest.xml

안드로이드 앱의 설정에 대한 정보 파일 입니다.

앱의 구성요소 및 속성 등을 정의하고, 시작 액티비티를 지정하는 파일입니다.

 

2. MainActivity.java

자동으로 추가하는 기본 액티비티의 자바 파일 입니다.

앱 화면의 동작을 구현합니다. 

화면 하나 당, 액티비티 하나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3. activity_main.xml

자동으로 추가하는 기본 액티비티의 레이아웃 XML 파일입니다.

앱 화면의 모양을 표현합니다.

 

4. menu folder

앱에서 사용할 메뉴의 구성을 정의하는 폴더입니다.

 

5. mipmap folder

앱에서 사용하는 아이콘 이미지 파일을 화면 밀도(Density)별로 생성하는 폴더입니다.

 

6. drawable folder

앱에서 사용할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입니다.

 

7. values folder

앱에서 사용할 값 (문자열, 수치값, 색상값 등)을 XML 파일로 저장하는 폴더입니다.

 

8. build.gradle

앱을 빌드하기 위한 설정정보 파일입니다.

필요한 외부 라이브러리 등의 정보를 기록합니다. 

 

9. R.java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R.java 라는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res 폴더 내의 모든 요소들은 소스 코드(java)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자바 객체로 변환되는데, 이를 inflation 이라고 합니다.

변환한 항목을 소스 코드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리소스 ID가 생성되며, R.java에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res 폴더 안의 activity_main.xml, strings.xml 등과 같은 파일을이 리소스 ID가 자동으로 R.class에 정수 타입 상수로 등록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R.id.res_name 식으로 등록됩니다.